동영상에서 탱크와 그 주위에 시설을 보여준다. 제4류 인화성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시설에 대한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4점)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시설의 명칭을 쓰시오.
방유제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시설의 높이는 ( 0.5 )m 이상 ( 3 )m 이하로 할 것.
$\ce{}$
동영상에서 첫번째 용기에 삼산화크롬$\ce{ (CrO3) }$이 명기된 주황색시료를 보여주고, 두번째 용기에 과망간산칼륨$\ce{ (KMnO4) }$이 명기된 흑자색시료를 보여준다. 다음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5점)
진한 보라색 물질의 분해 반응식을 쓰시오.
$\ce{2KMnO4 → K2MnO4 + MnO2 + O2}$
주황색 물질의 지정수량을 쓰시오.
$\ce{300 kg}$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지정수량_1류.html
동영상은 3가지 그림을 동시에 보여준다. ①~③ 그림에 명칭과 이 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위험물은 몇 류 인지 쓰시오. (5점)
위험물산업기사-실기\img__옥외탱크저장소_통기관_대기부착밸브.svg 위험물산업기사-실기\img__옥외탱크저장소_통기관.svg 위험물산업기사-실기\img__옥외탱크저장소_통기관_인화방지망.svg
( 대기밸브부착 통기관 ) ( 밸브 없는 통기관 ) ( 인화방지망 )
제4류 위험물
$\ce{}$
동영상은 제조소 근처에 주택, 고압가스시설, 고압가공선로(50,000V)를 보여준다. 각각의 안전거리를 쓰시오. (3점)
주택
10 m 이상
고압가스시설
20 m 이상
고압가공선로(50,000V)
5 m 이상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보유공지_제조소.html
동영상에서 휘발유 저장용기를 보여 주고 있다. 다음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5점)

휘발유
위험등급(III)
200 L
저장용기에 표시가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시오.
위험등급(Ⅲ) → 위험등급(Ⅱ)
이 위험물의 주의사항을 쓰시오.
화기엄금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지정수량_4류_제1석유류.html
동영상은 철($\ce{ Fe }$)과 염산(H$\ce{ Cl }$)이 반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4점)
이 반응의 화학반응식을 쓰시오.
$\ce{ Fe + 2HCl → FeCl2 + H2 }$
이 반응으로 발생하는 가스의 이름을 쓰시오.
수소
동영상은 창고에 칼륨($\ce{ K }$)과 이산화탄소($\ce{ CO2 }$)가 같은 장소에 저장되어 있고 이산화탄소($\ce{ CO2 }$)가 누출되어 칼륨($\ce{ K }$)과 접촉 폭발하는 장면을 보여 준다. 다음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6점)
이 폭발의 화학반응식을 쓰시오.
$\ce{ 4K + 3CO2 → 2K2CO3 + C }$
칼륨을 소화하는데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를 쓰시오.
탄산수소염류 등 분말소화설비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소화설비_위험물별.html
동영상은 옥외저장소를 보여준다. 다음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4점)
아세트산을 저장할 때 저장 높이는 몇 m 인지 쓰시오.
3m
아세트산 20000L 저장할 때 보유공지는 몇 m 이상 인지 쓰시오.
지정수량 = 10 배, 보유공지 = 3 m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 [별표 18]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기준

아세트산은 제4류 위험물 중 제2석유류(지정수량 2000L)로 ①,②에 같은 조건이 없으므로 ③에 3m가 된다.
①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에 있어서는 6m
② 제4류 위험물 중 제3 · 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를 수납하는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에 있어서는 4m
③ 그 밖의 경우에 있어서는 3m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지정수량_4류_제2석유류.html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보유공지_옥내외저장소.html
동영상은 바닥면적 450 m² 인 옥내저장소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5점)
환기설비의 기준에 따라 급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몇 개가 필요한지 계산하시오.
450/150 = 3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 [별표 4]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급기구는 당해 급기구가 설치된 실의 바닥면적 150 m²마다 1개 이상으로 하되, 급기구의 크기는 800 cm² 이상으로 할 것
저장창고에는 채광 · 조명 및 환기의 설비를 갖추어야 하고, 인화점이 ( 70 )℃ 미만인 위험물의 저장창고 에 있어서는 내부에 체류한 가연성의 증기를 지붕 위로 배출하는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 [별표 5] 옥내저장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저장창고에는 별표 4 Ⅴ 및 Ⅵ의 규정에 준하여 채광·조명 및 환기의 설비를 갖추어야 하고, 인화점이 70℃ 미만인 위험물의 저장창고에 있어서는 내부에 체류한 가연성의 증기를 지붕 위로 배출하는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동영상은 옥내저장소 내부의 선반에 있는 위험물을 보여준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아세톤을 저장할 경우 저장 높이를 쓰시오.
3 m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 [별표 18]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기준
①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에 있어서는 6m
② 제4류 위험물 중 제3 · 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를 수납하는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에 있어서는 4m
③ 그 밖의 경우에 있어서는 3m
저장창고는 지붕을 폭발력이 위로 방출될 정도의 가벼운 ( 불연재료 )로 하고, 천장을 만들지 아니하여야 한다.
$\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