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색화약의 원료 3가지 중 위험물인 것 2가지를 쓰고 각각 지정수량을 쓰시오. (4점)
질산칼륨($\ce{ KNO3 }$), 지정수량: $\ce{ 300 kg }$
유황($\ce{ S }$), 지정수량: $\ce{ 100 kg }$
질산칼륨($\ce{ KNO3 }$:위험물)에 숯가루($\ce{ C }$:비위험물), 유황가루($\ce{ S }$:위험물)를 혼합하여 흑색화약제조에 사용한다.
탄화알루미늄이 물과 반응할 때 화학반응식을 쓰시오. (4점)
$\ce{Al4C3 + 12H2O → 4Al(OH)3 + 3CH4}$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 화학식을 쓰시오. (3점)
$\ce{NH4H2PO4}$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소화약제__latexed.html
옥내저장소에 옥내소화전설비를 3개 설치할 경우 필요한 수원의 양은 몇 $\pu{m^3}$ 인지 계산하시오. (5점)
수원의 양 = $\ce{ 7.8 m^3/\text{개} × 3 \text{개} = 23.4 m^3 }$
① 옥내 : $\ce{7.8 m^3 × n ($단$, n \leq 5 (\pu{39 m3})}$)
② 옥외 : $\ce{13.5 m^3 × n ($단$, n \leq 4 (\pu{54 m3})}$)
어떤 물질이 히드라진과 만나면 격렬히 반응하고 폭발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5점)
이 물질의 명칭과 위험물일 조건을 쓰시오.
과산화수소. 농도가 36중량% 이상인 것만 위험물로 취급한다.
이 물질과 히드라진의 폭발반응식을 쓰시오.
$\ce{ 2H2O2 + N2H4 → 4H2O + N2 }$
조해성이 없는 황화린이 연소시 생성되는 물질 2가지를 화학식으로 쓰시오. (4점)
① $\ce{ P2O5 }$ ② $\ce{ SO2 }$
[삼황화린($\ce{ P4S3 }$) : 조해성(Deliquescence,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을 고체가 흡수하여 녹는 현상)이 없다]
반응식 : $\ce{ P4S3 + 8O2 → 2P2O5 + 3SO2 }$
셀프용 고정주유설비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6점)
1 회의 연속주유량 및 주유시간의 상한을 미리 설정할 수 있는 구조일 것. 이 경우 주유량의 상한은 휘발유는 ( 100 ) ℓ 이하, 경유는 ( 200 ) ℓ 이하로 하며, 주유시간의 상한은 ( 4 ) 분 이하로 한다.
$\ce{}$
위험물 제조소에 $\pu{ 200 m3 }$와 $\pu{ 100 m3 }$의 탱크가 각각 1개씩 2개가 있다. 탱크 주위로 방유제를 만들 때 방유제의 용량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지 계산하시오. (4점)
$ (\pu{ 200 m3 } × 0.5) + (\pu{ 100 m3 } × 0.1) = \pu{ 110 m3 }$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별표 4]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하나의 취급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용량은 당해 탱크용량의 50% 이상으로 하고, 2 이상의 취급탱크 주위에 하나의 방유제를 설치하는 경우 그 방유제의 용량은 당해 탱크 중 용량이 최대인 것의 50%에 나머지 탱크용량 합계의 10%를 가산한 양 이상이 되게 할 것.

방유제의 용량기준
1. 인화성 액체(이황화탄소 제외)의 방유제의 용량
 ㄱ. 탱크 1기 : 탱크 용량의 110% 이상
 ㄴ. 탱크 2기 이상 : 설치된 탱크 중 용량이 최대인 것의 용량의 110% 이상
2. 인화성이 없는 액체 위험물의 경우 : 탱크 용량의 100% 이상
3. 액체위험물을 제조하는 제조소와 인화성 액체 위험물을 저장할 경우: 용량이 최대인 것의 용량의 50%, 나머지 탱크의 용량의 10%를 합한다.
알킬알루미늄 등 및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취급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4점)
알킬알루미늄 등의 이동탱크저장소에 있어서 이동저장탱크로부터 알킬알루미늄 등을 꺼낼 때에는 동시 에 ( 200 ) kPa 이하의 압력으로 불활성의 기체를 봉입할 것.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이동탱크저장소에 있어서 이동저장탱크로부터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꺼낼 때에는 동시에 ( 100 ) kPa 이하의 압력으로 불활성의 기체를 봉입할 것.
추가) 이동저장탱크에 알킬알루미늄 등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20kPa 이하의 압력으로 불활성의 기체를 봉입하여 둘 것
압력수조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에서 압력수조의 필요한 압력을 구하기 위한 공식이다. 괄호에 들어갈 내용을 골라 알파벳으로 쓰시오. (4점)
P = p1 + ( D ) + ( E ) + 0.35 (MPa)
  • A: 전양정 (MPa)
  • B: 필요한 압력 (MPa)
  • C: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압 (MPa)
  • D: 배관의 마찰손실수두압 (MPa)
  • E: 방수압력 환산수두 (MPa)
  • F: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정답 : D 배관의 마찰손실수두압 (MPa), E 방수압력 환산수두 (MPa)
(1) 압력수조는 소화용수를 저장한 탱크 내부에 압축공기를 채워, 가압 송수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압력수조가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강도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나, 고가수조와 마찬가지로 압축공기가 정상적으로 채워져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동력이 없어도 충분한 가압송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수조의 용량은 압력수조의 부피의 2/3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압력수조에 의한 가압송수장치에서 압력수조에 충전하여야 할 압력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하여 산정한다.
 P = p₁+ p₂ + p₃ + 1.7 ( ㎏/ cm²)
 P : 압력수조에 필요한 압력(㎏/ cm²)
 p₁ :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 cm²)
 p₂ : 배관 및 부속밸브류 마찰손실 수두압(㎏/ cm²)
 p₃ : 낙차의 환산수두압(㎏/ cm²)
 1.7 (㎏/ cm²) : 옥내소화전 노즐선단의 방수압력
압력수조에는 수위계, 배수관, 급수관, 급기관, 맨홀, 압력계, 안전장치 및 자동식 에어콤프레샤(공기압축기)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제1류 위험물 중 위험등급Ⅰ 품명을 2가지 쓰시오. (4점)
  1. 아염소산염류
  2. 염소산 염류
  3. 과염소산염류
  4. 무기과산화물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지정수량_1류.html
벤젠, 경유, 등유 각각 1000 L 저장 시 지정수량의 합은 몇 배인지 계산하시오. (4점)
지정수량의 배수 = $\ce{\frac{1000}{200}}$(벤젠) + $\ce{\frac{1000}{1000}}$(경유) + $\ce{\frac{1000}{1000}}$(등유) = 7[배]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지정수량_4류_제1석유류.html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지정수량_4류_제2석유류.html
제4류 위험물 인화점에 관한 내용이다.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4점)
제1석유류 : 인화점이 섭씨 ( 21 )℃ 미만
제2석유류 : 인화점이 섭씨 ( 21 )℃ 이상 ( 70 )℃ 미만
제3석유류 : 인화점이 섭씨 ( 70 )℃ 이상 섭씨 ( 200 )℃ 미만
제4석유류 : 인화점이 섭씨 ( 200 )℃ 이상 섭씨 ( 250 )℃ 미만
$\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