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의 합이 지정수량의 48만배 이상인 사업소에 자체소방대 인원의 수와 소방차의 대수를 쓰시오. (4점)
20 인, 4 대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소화설비_자체소방대.html
트리에틸알루미늄과 물의 반응식을 쓰시오. (5점)
$\ce{(C2H5)3Al + 3H2O → Al(OH)3 + 3C2H6}$
크실렌 이성질체 3가지에 대한 명칭과 구조식을 쓰시오. (6점)
위험물산업기사-실기\chemical__1,2-dimethylbenzene(1,2-xylene).svg 위험물산업기사-실기\chemical__1,3-dimethylbenzene(1,3-xylene).svg 위험물산업기사-실기\chemical__1,4-dimethylbenzene(1,4-xylene).svg
O-크실렌, m-크실렌, P-크실렌
소화난이도 등급 Ⅰ의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 반드시 설치해야할 소화설비 종류 3가지를 쓰시오. (4점)
  1. 옥내소화전설비
  2. 옥외소화전설비
  3. 스프링클러설비
  4. 물분무 등 소화설비
$\ce{}$
주유취급소에 “주유중 엔진정지” 게시판에 색깔과 규격을 쓰시오. (5점)
바탕 : 황색, 문자 : 흑색
규격 : 한변의 길이가 0.3m 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가 0.6m 이상인 직사각형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주의표시_게시판.html
옥외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드럼통에 중유 위험물만을 쌓을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을 쓰시오. (6점)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 저장 높이는 몇 m 인지 쓰시오.
6 m
옥외저장소에서 위험물을 수납한 용기를 선반에 저장하는 경우 저장 높이는 몇 m 인지 쓰시오.
6 m
중유만을 저장할 경우 저장 높이는 몇 m 인지 쓰시오.
4 m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 [별표 18]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기준

①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에 있어서는 6m
② 제4류 위험물 중 제3 · 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를 수납하는 용기만을 겹쳐 쌓는 경우에 있어서는 4m
③ 그 밖의 경우에 있어서는 3m
④ 옥외저장소에서 위험물을 수납한 용기를 선반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6m를 초과하여 저장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다음 설명에 대한 내용을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3점)
"특수인화물"이라 함은 이황화탄소, 디에틸에테르 그 밖에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 100 )℃ 이하인 것 또 는 인화점이 섭씨 영하 ( 20 )℃ 이하이고 비점이 섭씨 ( 40 )℃ 이하인 것을 말한다.
$\ce{}$
마그네슘과 물이 접촉하는 화학반응식과 주수소화가 안되는 이유를 쓰시오. (4점)
$\ce{Mg + 2H2O → Mg(OH)2 + H2 }$
수소가스를 발생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다.
과산화나트륨의 완전분해 반응식을 쓰고, 과산화나트륨 1 kg이 표준상태에서 분해될 때 산소의 부피(L)를 구하시오. (6점)
$$\ce{ 2Na2O2 → 2Na2O + O2 }$$ $ n = \frac{\pu{1000 g}}{\ce{((23×2) + (16×2)) g/mol}}\times\frac{1}{2} = \pu{6.41 mol} \\ V = \pu{ (6.41 mol) }\times\pu{ 22.4 L/mol } = \pu{143.58 L} \\ \because \text{표준상태}(\pu{0^\circ C, 1 atm}) $
$\ce{CS2}$가 들어 있는 드럼통은 화재시 물을 이용하여 소화가 가능하다. 이 물질의 비중과 소화효과를 비교해 상세히 설명하시오. (4점)
이황화탄소는 물보다 무겁고 물에 녹지 않아 물이 산소공급원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질식소화 한다.
이황화탄소 비중 1.26
제3류 위험물 중 물과 반응성이 없고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흰연기를 발생시키는 물질명과 지정수량을 쓰시오. (4점)
① 물질명 : 황린 ② 지정수량 : 20kg
위험물산업기사-실기\table__지정수량_3류.html
금속나트륨과 에탄올의 반응식과 반응시 발생되는 가스의 명칭을 쓰시오. (4점)
① 반응식 : $\ce{2Na + 2C2H5OH → 2C2H5ONa + H2}$
② 발생가스 : 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