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문제

자격종목 화학분석기사 과제명 분광광도법에 의한 인산전량 정량분석
※ 문제는 시험 종료 후 본인이 가져갈 수 있습니다.
비번호      시험일시      시험장명     
※ 시험시간 : 3시간 30분

1. 요구사항

※ 지급된 재료 및 시설을 사용하여 아래 작업을 완성하시오.

다음 [조건]에 따라 바나드몰리브덴산암모늄법에 의한 인산정량 작업을 하시오.

-바나드몰리브덴산암모늄법에 의한 인산전량 정량분석 방법(4-3 페이지 참조)

  1. 시료칭량 : 주어진 시료를 성분시험 분석조건에 맞게 미지시료를 조제하시오.
  2. 미지시료 희석 및 발색 : 조제된 미지시료를 기기조건에 맞게 희석하고 발색 시약으로 발색시키시오.
  3. 흡광도 측정 :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발색된 미지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농도를 계산하시오.
    - 검량선은 검량선 작성란에 30 cm 자를 이용하여 반드시 일직선으로 나타내고 미지시료의 농도가 표준액 농도 값의 중간 (5~15 ppm 범위)에 위치하도록 희석하시오.
    - 그래프 용지에 미지시료의 농도 값을 농도 축 하단에 화살표 (↑)로 표시하고 그 값을 그래프용지 하단에 기록하시오.
  4. 성적계산서 작성 : 시료칭량무게, 희석배수, 흡광도 또는 농도를 근거로 소수점이하 4째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계산하고 분석성적은 인산($\ce{P2O5}$)의 함량(%)으로 구하시오.
4 - 1

◇ 바나드몰리브덴산암모늄법에 의한 인산전량 정량분석

표준인산액

황산데시케이터에서 건조한 특급 제1인산칼륨제1인산암모늄(순도는 시약병에 명기된 내용을 감안하여 계산하되, 순도가 명기되지 않은 경우에는 99.99%를 기준으로 계산하시오)[($\ce{KH3PO4}$$\ce{NH4H2PO4}$)의 분자량은 136.08934115.0255, 원자량은 각각 K는 39.102, P는 30.9738, O는 15.9994, N는 14.0097, H는 1.00797]으로 액 1 mL 중에 $\ce{P2O5}$로써 1 mg이 함유되도록 1 L를 조제한다.

발색 시약

메타바나드산암모늄$\ce{(NH4VO3) 0.56 g}$을 약 $\pu{150 ml}$의 물에 완전히 녹이고 잘 녹자 않을 경우애는 Hot plate 등애서 조금 가열시켜준 다음 메스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질산 $\pu{125 ml}$를 가한다. 이 액에 몰리브댄산암모늄$\ce{[(NH4)6Mo7O24*4h3O] 13.5 g}$을 물에 녹여 부어주고 물을 가해 $\pu{500 ml}$로 한다.

미지시료 조제

시험위원이 제시한 공시품($\ce{KH3PO4}$$\ce{NH4H2PO4}$)을 저울로 정확하게 취하고(저울의 소숫점 4째 자리에 나타나나 값을 시료 채취량으로 할 수 있습니다.) 적당량의 물을 이용하여 완전히 녹인 후 염산 약 $\pu{30 ml}$ 및 질산 약 $\pu{10 ml}$를 가한 다음 공시품이 완전히 녹은 것을 확인한 후 물을 가하여 정확하게 $\pu{1 L}$를 조제한다.

정량

표준 인상액을 정확하게 100 mL의 메스플라스크에 미지시료 중의 인(인산)의 양이 0~15 mg/L(0, 5, 10, 15 ppm)가 되도록 수단계로 하여 표준액 사이의 인산($\ce{P2O2}$)으로써 취해 A시약 20 mL를 넣고 눈금까지 증류수를 가하고 흔들어 10분~20분간 놓아 둔 후 파장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미지시료의 일정향을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취하고,(필요시, 강산성일 때는 암모니아수로 중화 한 후 질산을 가해 약산성으로 한 후) 표준인산액과 마찬가지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측정한 흡관도가 정량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다시 20 ppm 이하가 되도록 미지시료를 일정량 취한 후 다시 미지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인산($\ce{P2O2}$)의 함량(%)을 구한다.

- Blank 처리나, 검량선 기울기 보정은 실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수험자 개인에 맞게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4 - 3

$\ce{KH3PO4}$$\ce{NH4H2PO4}$

표준물 $\ce{KH3PO4}$$\ce{NH4H2PO4}$를 이용하여 $\ce{P2O5}$ 농도가 1000 ppm이 되는 용액 1 L를 만들려고 한다. 이때 취해야할 $\ce{KH3PO4}$$\ce{NH4H2PO4}$의 질량(g)은 얼마인가?
$\ce{ \begin{array}{ c | c | c | c | c } 1\ \ce{g} P2O5 & mol & 2 KH3PO4 & 136.08934\ \ce{g} KH3PO4 & 100\\ \hline L & 141.9446\ \ce{g} P2O5 & 1 P2O5 & mol & 99.99 \end{array} \\ = 1.9177\ \ce{g} KH3PO4 }$
$\ce{ \begin{array}{ c | c | c | c | c } \ce{1 g P2O5} & mol & 2 NH4H2PO4 & \ce{115.0255 g NH4H2PO4} & 100\\ \hline L & \ce{141.9446 g P2O5} & 1 P2O5 & mol & 99.99 \end{array} \\ = \ce{1.6209 g NH4H2PO4} }$

$\ce{KH3PO4 1.9177 g}$$\ce{NH4H2PO4 1.6209 g}$을 $\ce{1 L}$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표선까지 물을 채워, $\ce{1000 ppm}$ 용액을 만든다.

$\ce{1000 ppm}$ 용액을 $\ce{250 mL}$ 부피플라스크(준비된 적당한 크기의 플라스크에 만들면 된다)에 $\ce{25 mL}$ 넣고 표선까지 물을 채워 $\ce{100 ppm}$ 용액을 만든다.

$\ce{100 mL}$ 부피플라스크에 표준용액을 각각 $\ce{0, 5, 10, 15 mL}$ 씩 넣고, 각 플라스크에 발색시약을 $\ce{20 mL}$ 씩 넣은 뒤 표선까지 물을 채워 $\ce{0, 5, 10, 15 ppm}$ 표준용액을 만든다.

미지시료(공시료) $\ce{KH3PO4}$$\ce{NH4H2PO4}$ 0.3000 g으로 1 L 용액을 만든 후 20 ppm 이하가 되도록 100 mL 플라스크에 취했다면, 이 용액에 들어있는 $\ce{P2O5}$의 ppm 농도는 얼마인가?
$\ce{ \begin{array}{ c | c | c | c | c | c } \pu{0.3000 g} & 99.99 & mol & 1 & \pu{141.9446 g} & ppm \\ \hline L & 100 & \pu{136.08934 g} & 2 & mol & \pu{E-3 g/L} \end{array} = \pu{154.89 ppm} \\ 7 ppm 100 mL \text{ 시료를 만들기 위해서}, \\ 154.89 ppm \times $x$ mL = 7.00 ppm \times 100 mL \\ \therefore $x$ = 4.52 mL \\ }$
따라서 처음 만든 $\ce{1 L}$ 용액에서 $\ce{4.52 mL}$을 취해서 $\ce{100 mL}$로 묽히면 $\ce{7 ppm P2O5}$가 된다.
$\ce{ \begin{array}{ c | c | c | c | c | c } \pu{0.3000 g} & 99.99 & mol & 1 & \pu{141.9446 g} & ppm \\ \hline L & 100 & \pu{115.0255 g} & 2 & mol & \pu{E-3 g/L} \end{array} = \pu{183.25 ppm} \\ 7 ppm 100 mL \text{ 시료를 만들기 위해서}, \\ 183.25 ppm \times $x$ mL = 7.00 ppm \times 100 mL \\ \therefore $x$ = 3.81 mL \\ }$
따라서 처음 만든 $\ce{1 L}$ 용액에서 $\ce{3.81 mL}$을 취해서 $\ce{100 mL}$로 묽히면 $\ce{7 ppm P2O5}$가 된다.

바탕용액, 표준용액, 공시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를 채우시오.
blank 5 ppm 10 ppm 15 ppm 미지시료
흡광도 0.019 0.115 0.206 0.312 0.167
blank 흡광도 0.019 0.019 0.019 0.019 0.019
보정흡광도 0 0.096 0.187 0.293 0.148

표준 용액과 미지 시료에 발색 시약을 넣고 15분 정도 두면 발색이 끝난다. 육안으로 색을 비교해서 미시 지료의 색이 표준 용액 5 ppm과 15 ppm 사이의 진하기이면 잘 된것이고, 너무 연하거나 진하면 1차 시도 실패. 3회까지 기회가 있으니 당황하지 말고 시간배분을 잘 하면서 다시 만들면 된다.

흡광도 분석용 셀에 미리 준비한 스포이드(없으면 시험장의 피펫을 이용)로 표준 용액과 미지시료를 옮겨 담자. 그리고 준비된 셀들을 트레이에 순서대로 꽂고 UV로 분석하면 된다. 완성된 트레이를 들고 UV로 가져가면, 분석은 감독관이 해준다.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검정곡성 식을 구하고 모눈종이를 이용하여 검정곡선을 그리고 붙여서 제출하시오.
$ y = mx + b \\ m = \frac{n\sum(xy) - \sum(x)\sum(y)}{n\sum(x^2) - (\sum(x))^2}, \ b = \frac{\sum(y)\sum(x^2) - \sum(x)\sum(xy)}{n\sum(x^2) - (\sum(x))^2} $
$x$ $y$ $xy$ $x^2$
STD1 5 0.096 0.48 25
STD2 10 0.187 1.87 100
STD3 15 0.293 4.395 225
합계 30 0.576 6.745 350
$ \begin{align*} y &= \tfrac{3 \cdot 6.655 - 30 \cdot 0.576}{3 \cdot 350 - 900}x + \tfrac{0.576 \cdot 350 - 30 \cdot 6.745}{3 \cdot 350 - 900} \\ &= 0.0179 x - 0.005 \end{align*}$

그냥 계산기로 계산하는 것이 시간도 절약하고 값도 안 틀리게 나올 것이다. 문제에서 상관계수도 쓰라고 할 수 있으니 알고 있자.

[요구사항 3-2]에 나와있는대로, 그래프에서 미지시료 농도 값을 축 하단에 화살표로 표시하고 값도 써넣자.

공시액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미지시료(공시료)에 들어 있는 $\ce{P2O5}$의 질량 %를 구하시오.
$ 0.148 = 0.0179 x + 0.013 \\ x = \pu{7.542 ppm} \\ $
$ \pu{7.542 ppm} \times \frac{\pu{100 ml}}{\pu{4.52 ml}} = \ce{166.86 ppm P2O5}\text{이므로,} \\ \frac{\ce{166.86 ppm P2O5}}{\ce{300 ppm KH3PO4}} \times 100 = 55.62\% (\text{이론 값} = 52.2\%) \\ $
$ \pu{7.542 ppm} \times \frac{\pu{100 ml}}{\pu{3.81 ml}} = \ce{197.95 ppm P2O5}\text{이므로,} \\ \frac{\ce{197.95 ppm P2O5}}{\ce{300 ppm NH4H2PO4}} \times 100 = 65.98\% (\text{이론 값} = 61.7\%) $